We are excited to see you at Korea Life Science Week 2023 in Seoul tomorrow!Korea Life Science Week is a life science specialized business exhibition and conference where you can see the latest R&D trends in the life sciences industry.If you visit there, stop by our booth C403 and learn more about our technology and understand how Bertis’ PASS(Pan-omics Analysis Service & Solution) can help you better achieve your analysis and research goals.We welcome you all!
Unraveling the Proteome
for the Next Era of Precision Medicine
- 베르티스의
핵심 기술 체계 - ProteoID
-
LEARN MORE
- 연구 목적에 최적화된
단백체 분석 통합 솔루션 - PASS
-
LEARN MORE
- 세계 최초의 프로테오믹스
유방암 조기진단 솔루션 - MASTOCHECK
-
LEARN MORE
NOTICE
-
보도자료
2023.10.30
- 유방암 조기 진단 혈액검사 ‘마스토체크’ 사우디아라비아 및 중동 7개국 진출 계약 체결
- 유방암 조기 진단 혈액검사 ‘마스토체크’ 사우디아라비아 및 중동 7개국 진출 계약 체결 - 베르티스, 대통령 사우디 국빈 방문 중 사우디백스와 마스토체크 코프로모션 및 판매 대행 계약 체결 - 한승만 대표, “혈액검사 방식에 대한 니즈 높고, 국가 주도의 의료 전달 체계를 보유한 지역인 만큼 안정적인 검사 제공 시스템 구축에 매진할 것”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 기반 정밀의료 기술 기업 베르티스(대표 노동영, 한승만)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생명공학 기업 사우디백스(SaudiVax inc)와 유방암 조기 진단 혈액검사 마스토체크(MASTOCHECK®) 코프로모션 및 판매 대행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사우디백스는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쿠웨이트 등 중동 지역 7개국에 마스토체크의 영업과 마케팅을 수행하며, 향후 해당 국가 내 의료기관에서 검사 판매 시 혈액 검체 수집 및 배송을 담당한다. 베르티스는 검체를 분석해 검사 결과를 전달하며, 규제 기관 승인, 마케팅, 의료진 교육 및 환자 대상 정보 제공 등 마스토체크 영업 및 마케팅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이번 계약은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 대한민국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 국빈 방문 및 사우디 경제사절단 방문을 계기로 체결됐다. 양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췌장암 조기 진단 혈액검사 등 베르티스가 개발완료한 품목에 대해 향후 국내 상용화와 함께 중동 7개국에서 동시출시하기로 협의했다. 사우디백스는 사우디아라비아의 헬스케어 기업 UYC와 미국 PnuVax 사의 합자회사로 사우디아라비아와 걸프협력회의 및 이슬람협력기구(Organization of Islamic Countries, OIC)의 국가들에서 필요로 하는 생명공학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주도로 경제 및 사회 전반의 개혁을 추진하는 사우디 비전 2030(Saudi Vision 2030)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며, 사우디아라비아 내 생명과학 산업의 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마젠 하사네인 대표는 “혈액 기반 암 진단 검사는 의료서비스의 접근성 개선 등 사우디아라비아가 비전 2030 프로젝트를 통해 보건 분야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 부합하는 첨단 기술로 국민들의 건강증진과 바이오 생명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마스토체크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원활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자사가 보유한 공급 시스템와 노하우를 기반으로 도입을 활성화시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베르티스 한승만 대표는 “지역 간 의료 서비스 격차와 종교적 문화적 요인 등으로 혈액검사 방식의 조기 검진에 대한 니즈가 높은 주요 중동 국가에 마스토체크를 진출시켜 고무적이다”며, “국가가 검진을 비롯한 의료 서비스 제공을 주도하는 지역으로 도입 초기부터 검사가 신속히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는 만큼 검사가 안정적으로 제공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매진할 것”이라 말했다. 마스토체크는 유방암을 조기에 간편하게 스크리닝할 수 있는 혈액검사법이다. 혈액 내 유방암과 밀접한 관련을 보이는 3가지 종류의 단백질 바이오마커를 측정한 정량값을 특허받은 고유의 알고리즘에 대입해 유방암을 조기에 진단한다. 베르티스는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췌장암과 난소암의 조기 진단 혈액검사를 개발 중이다. 췌장암 조기 진단 검사는 마커 패널, 알고리즘, 진단 소프트웨어 및 시약 등 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허가를 위한 확증임상 단계를 진행 중이며, 난소암의 경우 마커 패널 개발을 완료하고 알고리즘 고도화를 위한 임상 시험을 계획 중이다.
-
보도자료
2023.10.13
- 베르티스, 핑크 리본 캠페인 ‘2023 핑크 페스티벌’ 참가
- 베르티스, 핑크 리본 캠페인 ‘2023 핑크 페스티벌’ 참가 -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행사 개최 후원하고 참가자 대상으로 유방암 조기진단 및 정기검진 홍보 활동 전개 예정[이미지] 2023 핑크 페스티벌, 베르티스 로고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 기반 정밀의료 기술 기업 베르티스(대표 노동영, 한승만)는 10월 15일 용산공원 장교숙소5단지에서 열리는 ‘2023 핑크 페스티벌’에 참여해 참가자 대상으로 유방암 조기진단 및 정기검진의 중요성을 알리는 활동을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핑크 페스티벌은 올해로 23년째를 맞이한 핑크리본 캠페인의 일환으로 유방 건강과 유방암에 대한 인식 향상과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위한 운동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한국유방건강재단, 대한암협회, 한국유방암학회가 공동 주최하는 페스티벌이다. 올해 행사에는 사전모집을 통해 선정된 1,000명이 참가할 예정이며, 댄스핏, 필록싱, 파운드핏, 라틴핏, 3km 그룹러닝 등 유방 건강 및 여성 건강에 도움을 주는 5가지 피트니스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베르티스는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기념하여 2023 핑크 페스티벌에 행사 개최를 후원하는 한편, 행사장 내 홍보 부스를 운영한다. 이를 통해 행사 참석자를 대상으로 유방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정기검진의 필요성을 소개하는 퀴즈를 진행하고 유방암 조기진단 혈액검사 ‘마스토체크(MASTOCHECK®)’ 등 유방암 정기검진에 필요한 정보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마스토체크는 베르티스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프로테오믹스 기반 유방암 조기 진단 혈액 검사다. 국내에서 0-2기 유방암 진단에 대한 마스토체크의 유효성을 입증 받아 2019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체외진단용 의료기기로 승인받았으며, 2023년 10월 기준 국내 병원 및 건강검진센터 392 여 곳에 도입돼 있다. 베르티스 한승만 대표는 “유방암 조기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서 유방 건강 인식 증진을 이끌어가는 핑크 페스티벌에 동참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유방암을 비롯한 주요 질병에 대한 정밀의료 구현에 필요한 기술 개발에 매진하는 동시에 조기진단 및 정기검진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보도자료
2023.09.07
- 베르티스, 단백체 분야 세계 최대 학술행사 HUPO 2023 참가, 차세대 단백체 데이터 분석법 개발 등 연구결과 10건 발표
- 베르티스,단백체분야세계최대학술행사HUPO 2023참가,차세대단백체데이터분석법개발등연구결과10건발표- 세계 최대 규모 단백체학회 HUPO, 16년만에 한국 개최… 9월 17~21일에 부산 벡스코서 진행- 40개국에서 1,000여 명의 연구자 및 업계 주요 관계자 참여…베르티스, 주요 후원사로 참가- 베르티스, 차세대 질량분석 측정법 및 단일 세포 단백체 분석법 개발 등 관련 10건의 연구 발표하고 핵심기술체계 ‘프로테오아이디(ProteoID)’ 및 9가지 핵심 기술 소개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 기반 정밀의료 기술 기업 베르티스(대표 노동영, 한승만)는 오는 9월 17일부터 21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되는 단백체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학술행사 ‘2023 세계단백체학회(HUPO, Human Proteome Organization, 이하 HUPO 2023)’에 참가한다고 7일 밝혔다.HUPO 2023은 ‘Together Through Proteomics’ 라는 슬로건을 걸고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되며, 40여 개국에서 1,000여 명의 연구자 및 업계 주요 관계자들이 참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HUPO는 2002년 프랑스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매년 미주, 아시아·오세아니아, 유럽·아프리카 대륙을 순회하며 개최되며, 국내에서는 2007년 서울 개최에 이어 16년 만이다.베르티스는 HUPO 2023 동안 차세대 질량분석 측정법 및 단일 세포 단백체 분석법 개발 등 10건의 단백체학 관련 연구 발표를 진행한다. 구두 발표로는 ▲ 대규모 단백질체 데이터 수집을 위한 혁신적인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LC-MS) 측정 방법 BTS(Broad Target Scanning) ▲ 새로운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하기 위한 지방세포 및 혈장에서 분비되는 알려지지 않은 small ORF 마이크로단백질의 동정 ▲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삼중음성유방암(TNBC)에 대한 공간적 단백체학 접근법 주제로 3건이 진행되며, 딥러닝 기술 기반의 단백질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DeepMRM, 노화에 관여하는 혈액 단백체 탐색 등을 다룬 7건의 포스터 발표도 예정돼 있다.<이미지> HUPO 2023 베르티스 구두 발표 리스트 (발표 상세 요약 하단 참고)베르티스 한승만 대표는 “바이오산업 내 전 영역에서 프로테오믹스 기술의 쓰임새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중요한 시기에 프로테오믹스 분야를 대표하는 학술행사가 국내에서 열리게 된 것은 국내 프로테오믹스 산업계와 학계에 고무적인 일이다”며 “베르티스도 이번 HUPO 2023 개최를 계기로 전 세계 프로테오믹스 커뮤니티에 국내의 기술력을 소개하고 함께 프로테오믹스 기술 발전에 의미 있는 도약을 이뤄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베르티스는 HUPO 2023을 통해 단백질 데이터 분석 및 해석 역량과 기술 상용화의 노하우를 알리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학회장 내 대형 홍보부스를 마련해 핵심기술체계 ‘프로테오아이디(ProteoID, Proteome Integrated Determination)’를 중심으로 바이오마커 발굴 및 알고리즘 개발, 진단 서비스 상용화, 고도화 기술과 관련된 9가지 핵심 기술을 소개하고 유방암 조기진단 혈액검사 ‘마스토체크(MASTOCHECK®)’를 포함한 다중마커 조기진단 솔루션 파이프라인과 팬오믹스 분석 솔루션 PASS(Pan-omics Analysis Service & Solution)에 대해 홍보한다. <이미지> 베르티스 핵심기술체계 프로테오아이디(ProteoID) 및 9가지 핵심 기술프로테오아이디는 조밀하게 뭉쳐 있는 식물의 뿌리를 뜻하는 ‘proteoid roots’에서 착안된 명칭으로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과 다양한 질병 마커들 간의 조합, 프로테오믹스 기술 간의 유기적 결합을 구성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베르티스는 단백질 데이터 분석부터 제품 및 서비스의 상용화까지 프로테오믹스 기술 실현의 전 단계를 아우르는 기술 체계인 프로테오아이디를 토대로, 프로테오믹스가 가진 가능성을 임상과 의료 현장에서구현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
보도자료
2023.07.31
- 베르티스 팬오믹스 분석 솔루션 PASS, 미국 시장 진출
- 베르티스 팬오믹스 분석 솔루션 PASS, 미국 시장 진출- 미국 내 베르티스 바이오사이언스의 클리아랩과 전문 인력 기반으로 서비스 실시, 세계적인 생명 과학 연구센터 소크생물학연구소와 첫 계약 체결- PASS, 단백체 분석 및 바이오마커 발굴, 신약 개발 임상 위한 분석 솔루션으로 작년 5월 국내 출시 후 순항 중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 기반 정밀의료 기술 기업 베르티스(대표 노동영, 한승만)는 팬오믹스 통합 분석 솔루션 ‘PASS(Pan-omics Analysis Service & Solution)’ 서비스를 미국에서 출시한다고 31일 밝혔다.팬오믹스(Pan-omics 다차원-오믹스)는 단백질체학(Proteomics), 대사체학(metabolomics), 유전체학(Genomics) 등에서 발생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영역이다. PASS는 베르티스가 보유한 팬오믹스 및 바이오인포매틱스(Bioinformatics),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 목적에 맞는 단백체 분석, 바이오마커 발굴 및 검증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 임상 연구 공정에 필요한 다양한 분석 솔루션을 제공한다.<이미지> PASS 로고미국에서는 베르티스의 미국 법인인 베르티스 바이오사이언스(Bertis Bioscience)의 클리아랩(CLIA LAB) 시설과 질량분석 및 바이오인포매틱스 전문인력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된다. 질환 연구를 위해 진행되는 다양한 단백체 발굴 연구에 나스닥 상장사 프로테오믹스 분석 플랫폼 기업 씨어(Seer)의 프로테오그래프(Proteograph) 솔루션을 활용할 예정이다.베르티스 바이오사이언스는 6월 8일 샌디에이고 기반의 생명 과학 비영리 연구센터 소크생물학연구소(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와 미국 내 첫번째 서비스 공급계약도 체결했다. 소크생물학연구소는 암, 신경과학, 노화, 면역학, 식물생물학 등의 연구 분야에서 명성이 높으며 6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센터 중 한 곳이다. 베르티스 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질환과 관련된 신규 혈액 바이오마커 발굴에 필요한 단백질 분석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다.베르티스 한승만 대표는 “베르티스가 보유한 원천 기술과 전문인력 그리고 프로테오믹스 분석 및 상용화 노하우에 힘입어 작년에 PASS를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론칭했으며, 국제 학회 참여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이 충분하다는 점도 확인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센터와의 서비스 공급 계약 체결을 시작으로 글로벌 프로테오믹스의 주요 무대라 할 수 있는 미국에서 사업화와 성과 창출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학계 및 기업에서 연구 목적에 맞는 다양한 오믹스 분석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PASS는 지난해 5월 국내에 론칭한 이후 바이오테크 및 제약사, 연구소 등 업계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베르티스의 최첨단 분석 장비와 전문 인력을 활용할 수 있다는 강점을 기반으로 6월 기준으로 국책기관, 정부출연연구소, 민간기업 등 20곳으로부터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보도자료
2023.07.12
- 베르티스, 딥러닝 기술 기반 타겟 단백체 데이터 해석 소프트웨어 ‘DeepMRM’ 연구 결과 국제 학술지 게재
- 베르티스, 딥러닝 기술 기반 타겟 단백체 데이터 해석 소프트웨어‘DeepMRM’ 연구 결과 국제 학술지 게재- 자체 개발한 ‘DeepMRM’의 성능과 정확도를 평가한 연구 결과, 12일 국제 학술지 ‘셀 리포트 메소드(Cell Reports Methods)’ 게재- 단백질 후보물질 발굴 성능 비교 연구 결과, DeepMRM이 기존 소프트웨어 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이면서 오류가능성은 가장 낮아- 임상 환경에서 고속 분석을 촉진하고 타깃 단백체(targeted proteomics) 분석의 재현성과 확장성 향상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 기반 정밀의료 기술 개발 기업 베르티스(대표 노동영, 한승만)는 자체 개발한 딥러닝 기술 기반으로 타깃 단백체의 데이터를 해석하는 소프트웨어 ‘DeepMRM’의 성능을 평가한 연구 결과가 12일 국제 학술지 ‘셀 리포트 메소드(Cell Reports Methods)’에 게재됐다고 밝혔다.‘DeepMRM’은 특정한 단백질 후보물질을 찾기 위한 대표적인 분석법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을 더욱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진행하고자 베르티스 연구팀이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개발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다. 기존의 MRM 분석 소프트웨어의 경우, 분석 과정에 수작업이 수반돼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며 인적 오류에 취약해 일관되지 않은 분석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DeepMRM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객체 탐지를 위한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개선했다.베르티스 머신러닝팀과 미국 자회사 베르티스 바이오사이언스 팀은 공개된 다양한 벤치마킹 MRM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Skyline 소프트웨어와 DeepMRM의 성능 비교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DeepMRM이 분석한 단백체의 정량 값과 실제 값의 상관관계(correlation coefficients)와 평균 오류값을 측정하는 MAAPE(Mean Arctangent Absolute Percentage Error) 평가 지표 모두에서 Skyline 소프트웨어를 능가했다. Skyline 소프트웨어에 결과를 더 정교하게 만들어주는 필터 mProphet 알고리즘을 적용해도 DeepMRM의 결과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이미지: DeepMRM과 기존 소프트웨어 성능 비교 표>DeepMRM은 우수한 성능으로 임상 연구 시 단백체 분석 시간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분석 결과의 재현성을 향상시켜 결과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또한 높은 확장성을 갖추고 있어 MRM 데이터 외에 PRM(Parallel Reaction Monitoring), DIA(Data-Independent Acquisition) 데이터 등 다른 형태의 단백질 분석도 가능하다.<이미지: DeepMRM 활용해 특정 단백체를 분석하는 과정>이번 연구를 주도한 베르티스 머신러닝팀 박정갑 이사는 “DeepMRM은 베르티스의 주요 연구 분야인 다중마커진단 솔루션과 분석 서비스에서 데이터 처리량을 획기적으로 늘려줄 수 있는 혁신적인 분석 도구다”라며 “향후 질병의 진단부터 치료, 신약 타겟 물질 발굴이 가능한 독보적인 플랫폼을 구현해 내기 위해 AI 기술을 적용한 분석 도구 개발 연구를 지속할 것” 이라고 말했다.베르티스 CEO 한승만 대표는 “프로테오믹스 기술력에 바이오인포매틱스(Bioinformatics) 및 AI 기술을 결합해 프로테오믹스 데이터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 속에서 DeepMRM 논문이 게재된 것은 의미가 크다”며 “베르티스는 아시아 프로테오믹스 선도 기업으로서 연구개발과 실제 임상에서 프로테오믹스가 가진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베르티스는 10년 이상 축적된 프로테오믹스 기술력에 바이오인포매틱스와 AI 기술을 접목하여 프로테오믹스 데이터의 해석과 활용 한계를 극복하는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정보 처리 및 해석 과정을 자동화해 단백체 생체 정보로부터 건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혁신적인 건강정보 해석 모델을 목표로 SAN(Spectrum is All you Need) 모델을 연구개발 중이다.
-
- 인허가품질담당 - 경력직 채용
- 법인 : 베르티스고용형태 : 정규직지역 : 기흥
채용중
2023.07.18
-
- Pass 팀 Bioinformatics analysis researcher - 경력직 채용
- 법인 : 베르티스고용형태 : 정규직지역 : 분당
채용중
2023.07.18
-
- 임상연구팀 - 경력직 채용
- 법인 : 베르티스고용형태 : 정규직지역 : 강남
채용중
2023.07.18
wr_datetime desc
